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메인로고

종합 기후변화감시정보

반응가스 - 이산화황

대기(대기조성) > 반응가스 > 이산화황

※ '22.08. 최신정보 수정 / '23.08. 다음 업데이트 예정


국내 이산화황 연도별 월평균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이산화황(SO2)은 황산(H2SO4)의 주요 공급원이다. 즉 황산(H2SO4)은
이산화황(SO2), 수증기(H2O), 오존(O3)과 반응하여 생성되며,
산성비를 유발하거나 새로운 입자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이산화황(SO2)은 화학반응을 거쳐 황산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데
이는 태양빛을 산란시켜 지구 냉각화에 기여한다(IPCC, 2013).
안면도(2004~2021), 고산(2012~2021)의 이산화황 연도별 월평균 농도
그래프이며, 내륙에 더 가까운 안면도가 고산보다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 2007년 이전 안면도 자료 중 일부는 관측환경, 자료 이상 등으로 인해
  품질처리로 무효 처리됨.

※ 안면도 자료(14.03~17.02)는 관측환경에 따른 품질처리로 무효 처리됨.



(출처) 국립기상과학원



국내 이산화황 월평균



안면도(2004~2021), 고산(2012~2021)의 이산화황 월평균 농도이다.
안면도는 1월에 3.9ppb로 겨울철에 가장 높고 7월에
0.9ppb로 여름철에 가장 낮으며, 고산도 1월에 0.9ppb로
가장 높고 7~9월에 0.5ppb로 가장 낮으나 안면도보다 변화폭이 적다.



※ 2007년 이전 안면도 자료 중 일부는 관측환경, 자료 이상 등으로 인해
  품질처리로 무효 처리됨.

※ 안면도 자료(14.03~17.02)는 관측환경에 따른 품질처리로 무효 처리됨.



(출처) 국립기상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