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 국내외 연월평균농도
※ '22.08. 최신정보 수정 / '23.11. 다음 업데이트 예정
국내 이산화탄소 월평균농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안면도(1999~2021), 고산(2012~2021), 울릉도(2014~2021),
독도(2014~2021)의 이산화탄소 농도 월평균 자료로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계절변동을 보이며, 모든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국내외 이산화탄소 연평균농도
전지구(1984~2021), 안면도(1999~2021), 고산(2012~2021), 울릉도(2014~2021), 독도(2014~2021)의 연평균 이산화탄소 농도이다.
2021년 이산화탄소 연평균농도는 전지구 415.7 ppm으로 산업화(1750년대) 이전(278.0 ppm) 대비 약 48.6% 증가했다.
안면도는 2021년 423.1 ppm으로 1999년 369.2 ppm 보다 53.9 ppm
증가했다. 최근 10년 동안 안면도 이산화탄소 농도의 연평균 증가량은
2.7ppm/연으로 전지구(2.4 ppm/연)보다 높은 수준이다.
안면도와 고산에서 각각 2012년, 2013년에 처음으로 연평균 농도가
400 ppm을 돌파하였으며, 모든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국내외 이산화탄소 월평균농도
전지구(1984~2021), 안면도(1999~2021), 마우나로아(1974~2021),
케이프그림(1981~2021), 료리(1987~2021)의 월평균 이산화탄소 농도이다.
전지구 이산화탄소의 월평균농도는 2015년에 400 ppm을 돌파하였고,
2020년12월값은 415.6ppm으로 전지구와 각 지점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출처) 전지구: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출처) 국외자료: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출처) 국내자료: 국립기상과학원
국내외 이산화탄소 절대증가값
전지구(2000~2021)와 안면도(2000~2021)의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의
전년대비 증가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2020년∼2021년도 사이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값은 전지구 2.5, 안면도 2.7 ppm/연으로 안면도에서의
이산화탄소 증가값이 더 크다.
※ 절대증가값 = 올해 연평균값 - 전년도 연평균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