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로졸 - 옹스트롬지수
※ '22.08. 최신정보 수정 / '23.08. 다음 업데이트 예정
옹스트롬지수(Total column) - 안면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안면도(2010~2021), 고산(2013~2021), 울릉도(2013~2021)의
옹스트롬지수 박스플롯 그래프이다. 안면도는 주로 큰 입자로 구성된
황사의 영향을 받는 봄철에 옹스트롬지수가 작은 값을 보이고,
그 외 에어로졸의 영향이 적거나 작은 입자의 영향을 주로 받는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대체로 옹스트롬지수가 큰 값을 보인다.
그러나 2016년 가을과 겨울에는 옹스트롬지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에어로졸 크기를 상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옹스트롬지수가 작으면 에어로졸 크기가 크고,
크면 에어로졸 크기가 작은 것을 위미한다. 지점별 옹스트롬지수의 경향을 통해 기간에 따른
월별 에어로졸 크기 특징을 알 수 있다.
※ 그래프 양끝 : 최댓값,최솟값 / 상자 가운데 실선 : 중간값 / 상자 양끝 : 25%·75%값,
파랑색 점 : 평균값
고산
고산은 대체로 봄철에 낮고 가을 및 겨울철에 높게 나타났다.
※ 2014년 5월부터 2015년 3월 24일까지는 관측결과에 오류가 나타나 최종 결과물에
포함하지 않았다.
※ 그래프 양끝 : 최댓값,최솟값 / 상자 가운데 실선 : 중간값 / 상자 양끝 : 25%·75%값,
파랑색 점 : 평균값
울릉도
울릉도도 안면도, 고산과 같이 대체로 봄철에 낮고 가을 및 겨울철에
높게 나타났다.
※ 2014년 5월부터 2015년 3월 24일까지는 관측결과에 오류가 나타나 최종 결과물에
포함하지 않았다.
※ 그래프 양끝 : 최댓값,최솟값 / 상자 가운데 실선 : 중간값 / 상자 양끝 : 25%·75%값,
파랑색 점 : 평균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