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양
※ '23.10. 최신정보 수정 / '24.11. 다음 업데이트 예정
2014 ~ 2018년의 안면도 이산화탄소의 플라스크 샘플링 분석자료와 실시간 관측자료의 상관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상관계수(R)가 0.98, 기울기는 0.98로 이 두 자료는 상당히 좋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 플라스크 샘플링은 안면도에서 주1회 실시간 장비의 인렛과 동일한 높이에서 포집한 후 중앙교정실험실(CCL)로 보내지며, CCL에서 분석 후 안면도의 실시간 관측자료(1시간 평균)와 비교한다.
※ CCL(Central Calibration Laboratory) : WMO GAW의 주요 시설 중 하나인 중앙교정실험실
※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 세계기상기구
※ GAW(Global Atmosphere Watch) : 지구대기감시 프로그램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그림 (a)는 2014년 4월에서 2017년 12월까지 시간에 따른 TCCON의 안면도 FTS와 NASA 온실가스 관측 전용위성 OCO-2의 XCO₂ 농도 변화를 보여주며,
그림 (b)는 안면도 FTS와 OCO-2위성의 선형성을 보여준다. 이 결과 FTS와 OCO-2의 XCO₂는 R값이 0.936으로 계산되며, 상대적으로 두 농도 값이 일치함을 나타난다.
또한 두 값을 통해 대기 중의 CO₂ 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표는 2014년에서 2017년 12월까지의 안면도 FTS 연평균 농도이다.
다음 온실기체 성분의 연평균 농도로부터 XCO₂의 증가 추세와
그 평균값을 확인할 수 있다. ±α 는 연평균 농도에 대한 표준편차이며,
표준편차를 반영한 XCO₂의 농도 값은 2014년도에 비해 2017년도에
약 10ppm 정도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논문: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derived from ground-based FTS spectra at Anmyeondo,
South Korea (Atmos. Meas. Tech., 11, 2361–2374, 2018, https://doi.org/10.5194/amt-11-2361-2018)
※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 미항공우주국
※ TCCON(Total Carbon Column Observing Network) : 온실가스 지상검증 네트워크
※ FTS(Fourier Transform Spectrometer) :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
※ OCO-2(Orbiting Carbon Observatory-2) : 탄소관측 위성. 미국 NA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