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정책
추진개요
기후업무발전 기본계획 수립배경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수립된 국가 정책의 각 전략들을 체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전략 필요
향후 5년 간 우리나라 기후업무의 발전 목표와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별 과제를 제시하는 기후업무발전 기본계획을 수립
근거
-「기후업무규정」제3조 제1항
- 제3조(기후업무 기본계획)① 기후과학국장은 기상법 제5조에 따라 5년마다 기후업무 기본계획을 수립·시행
범위
- 기후업무의 발전을 위한 기본정책에 관한 사항
- 기후 및 기후변화 관련 인프라 구축에 관한 사항
- 기후예측, 기후변화감시 기술개발 및 서비스에 관한 사항
- 기후 및 기후변화 관련 이해확산에 관한 사항
- 기후에 관한 영향조사/지역기후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기후업무에 관한 중요 사항
제3차 기후업무발전 기본계획 개요
계획기간: 2017~2021년(5년)
기본 목표 및 추진전략도
-
비전
기본목표
-
국민행복에 기여하는 기후서비스
기후정보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확대 및 신기후체제 대응
4대 중점 추진 전략
1. (기반강화) 기후변화 감시 체계 확대1- ① 전 지구 기후감시 체계 구축
1- ② 위성 기반의 기후변화 감시 및 활용 기술 개발
2. (핵심기술) 미래 기후 환경 예측 역량 강화2- ① 지구시스템모델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2- ② 기상자원 분석 및 예측기술 고도화
2- ③ 생명기상 기후영향평가 모델 개발
3. (정책결정) 기후정보 활용·촉진 및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확대3- ① 시나리오 기반 기후변화 대응 의사결정 지원 강화
3- ② 이상기후 대응 장기예보 품질 향상
3- ③ 수문기상기후예측 정보 생산 및 지원 서비스
4. (공조확대) 국내외 기후정책 협력 및 대응 인프라 강화4- ① 기후변화 대응 협업 확대 및 인프라 강화
4- ② 기후분야 국제협력 활성화 및 역할 확대
4- ③ 기후분야 역량 강화 및 기후변화 이해확산
기후업무발전 기본계획 연혁
구분 | 1차 계획('10∼'14) | 2차 계획('15∼'19) |
---|---|---|
비전 | 범지구적 기후변화대응 노력에 동참하고 녹색성장을 통한 저탄소사회 구현 | 국민행복에 기여하는 기후서비스 |
기본 목표 | 기후변화의 과학적 대응 역량 제고 및 신성장 동력 개발 지원 | 기후정보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확대 및 창조경제 기여 |
추진전략 |
① 한반도 기후변화감시 역량 강화 ② 기후변화 예측능력 강화 및 선진 기술 확보 ③ 녹색성장 기반 구축을 위한 신성장 동력 개발 지원 강화 ④ 기후변화과학 분야의 국가 대응 인프라 강화 ⑤ 기후변화과학 분야 대국민 홍보 서비스 강화 |
① (기반강화) 기후변화 관측·감시 체계 확대 ② (핵심기술) 기후예측 연구개발 역량 강화 ③ (정책결정) 기후정보 활용·촉진 및 의사결정 지원서비스 확대 ④ (공조확대) 국내외 기후정책 협력 및 대응 인프라 강화 |
특징 |
- 5대 전략 18개 세부과제 - 기후변화감시발전계획, 기후에 관한 영향조사 기본계획을 통합('12.1) |
- 4대 전략 12개 세부과제 - 제3차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과 기간 동일화를 위해 재수립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