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연구개발
home
기후정책법령 > 기후분야 연구개발 > 츨연 연구개발
<근거: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출연 연구개발사업”이란 기상업무와 관련된 분야의 기술개발, 기상산업 육성 등을 위하여 기상청장이 관계 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하고, 그 연구개발과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연하거나 공공기금 등으로 지원하는 연구개발사업을 말한다.
출연 연구개발(기후R&D)
개요
기후변화 감시·분석·예측 분야의 원천기술개발을 위해 대학· 연구소 등의 연구기관을 공모하여 수행하는 공모형 출연 연구사업으로 2009년부터 추진 중
사업명 | 사업목적 | 지원조건 |
---|---|---|
기상·지진See-At기술개발연구 -기후과학기술(기후분야) |
기후·기후변화 관련 목적기초·원천기술 개발 | 출연 |
사업 내용
기후변화대응(적응, 완화, 국제협상 분야 등) 전략수립을 위한 기후변화 과학정보(감시, 원인규명, 예측) 생산 및 활용 기술개발
기후변화 감시·분석 기술개발: 기후변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분야
- 기후변화 원인물질(이산화탄소, 메탄, 에어로졸 등) 감시자료 품질고도화 및 기후변화의 원인·결과·영향 정보에 대한 수집·분석 기술개발
기후변화 예측 기술개발: 미래 기후변화가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를 예측하는 분야
- 제2차 녹색성장 5개년 계획(‘14~‘18년)에 따른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예측 메커니즘 규명과 새로운 제6차 IPCC 평가보고서(AR6) 관련 연계 기술개발 지원 등
추진 체계

현재 수행 중인 연구과제
번호 | 과제명 | 연구기간 |
---|---|---|
1 | 극/성층권/지면과정 변동 특성을 활용한 중위도 순환장 예측기술 개발 | 2018.4.1.~2020.12.31. |
2 | 기후변화감시자료 통합분석을 이용한 기후시스템의 변화 진단 연구 | 2018.4.1.~2020.12.31. |
3 | 국가 기후변화대응정책 지원을 위한 지역기후 상세화 기법 고도화 및 상세 기후변화정보 산출 | 2018.4.1.~2020.12.31. |
4 | 장기예보 지원을 위한 기후예측시스템의 결합 초기화 기술 개발 | 2018.4.1.~2020.12.31. |
5 | 대양간 상호작용 및 변동에 기인한 한반도 기후예측 기술개발 | 2018.4.1.~2020.12.31. |
6 | 기후변화 영향조사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부문별 응용정보 활용기술 개발 | 2018.4.1.~2020.12.31. |
7 | CMIP6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미래 우리나라 극한 기후 메커니즘 변화전망 | 2018.4.1.~2020.12.31. |
8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을 위한 선진 기후과정 성분모듈 진단 및 결합기술 | 2018.4.1.~2020.12.31. |
9 | 인위적 영향에 따른 동아시아 강수 시공간분포의 과거?미래변화 원인규명과 평가 | 2018.4.1.~2020.12.31. |
10 | 국가 온실가스정보 신뢰성 평가 체계 구축 및 WMO 파일럿 프로젝트 수행 기반 연구 | 2018.4.1.~2020.12.31. |
11 | 이상강수 발생과 관련된 주변 기압계 패턴 및 이에 영향을 주는 배경장 상태 분석 연구 | 2018.4.1.~2019.3.31. |
12 | 플라이스토세 후기 북서태평양 천년규모 기후변화: 프록시 복원과 모델 시뮬레이션 비교연구 | 2018.4.1.~2019.3.31. |
13 |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한 대기 에어로솔 종류 구분 기법 고도화를 통한 에어로솔 종류별 복사 강제력 민감도 분석 및 기후변화 기여도 산정 | 2018.4.1.~2019.3.31. |
자세한 연구과제 내용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 http://www.nti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