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메인로고

기후정보포털

Q&A

home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소개 > Q&A
  • 물음표 RCP 시나리오에 따른 전지구/동아시아/한반도 전망결과를 알려주세요. 화살표

    전지구 및 동아시아, 한반도, 남한 기후변화 전망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표 1. 현재(1981-2010년) 대비 21세기 후반기(2071-2100년)
    전지구/동아시아/한반도/남한 연평균기온 편차 전망>

    표 1. 현재(1981-2010년) 대비 21세기 후반기(2071-2100년) 전지구/동아시아/한반도/남한 연평균기온 편차 전망
      RCP2.6 RCP4.5 RCP6.0 RCP8.5
    전지구 +1.3℃ +2.4℃ +2.7℃ +4.0℃
    동아시아 +1.2℃ +2.4℃ +2.5℃ +3.8℃
    한반도 +1.8℃ +2.9℃ +3.0℃ +4.7℃
    남한 +1.7℃ +2.6℃ +2.7℃ +4.4℃

    <표 2. 현재(1981-2010년) 대비 21세기 후반기(2071-2100년)
    전지구/동아시아/한반도/남한 연강수량 편차비 전망>

    표 2. 현재(1981-2010년) 대비 21세기 후반기(2071-2100년) 전지구/동아시아/한반도/남한 연강수량 편차비 전망
      RCP2.6 RCP4.5 RCP6.0 RCP8.5
    전지구 +2.4% +4.0% +3.6% +4.5%
    동아시아 +0.6% +3.7% +0.8% +0.9%
    한반도 +5.5% +3.3% +6.8% +13.1%
    남한 +6.6% +6.7% +11.4% +13.2%
    ※ 전지구와 동아시아는 HadGEM2-AO 전지구기후모델에 의한 값이고, 한반도는 HadGEM3-RA 지역기후모델에 의한 값이며, 남한은 PRIDE 통계적 공간 상세화 모델에 의한 값입니다.

    한반도와 남한의 기후변화 전망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한반도

    1. RCP 시나리오에 따른 21세기 한반도의 기온 및 강수량 전망
    <그림 1. RCP 시나리오에 따른 21세기 한반도의 기온 및 강수량 전망 >

    ※ 세부 전망내용은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기후변화 시나리오>다운로드>보고서]의 2018년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분석서를 참고하세요.
    남한

    2. RCP 시나리오에 따른 21세기 남한의 기온 및 강수량 전망
    <그림 2. RCP 시나리오에 따른 21세기 남한의 기온 및 강수량 전망>

    ※ 세부 미래 전망내용은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기후변화 시나리오>다운로드>보고서] 2018년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분석서를 참고하세요.
  • 물음표 SSP 시나리오에 따른 전지구/동아시아/한반도 전망결과를 알려주세요. 화살표

    mark 전지구
    21세기 말(2081~2100년), 전지구 평균기온은 온실가스 배출 정도에 따라 현재(1995~2014년) 대비 1.9~5.2℃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그림 1).

    그림 1. 현재(1995-2014년) 대비 2000-2100년의 연도별 전지구 평균기온 변화(℃). 음영은 6개 앙상블의 범주를 표시하며, 실선은 앙상블 평균값을 의미함.
    <그림 1. 현재(1995-2014년) 대비 2000-2100년의 연도별 전지구 평균기온 변화(℃).
    음영은 6개 앙상블의 범주를 표시하며, 실선은 앙상블 평균값을 의미함>

    기온 상승폭은 육지(2.5~6.9℃)가 해양(1.6~4.3℃)보다 크게 나타나며, 북극의 기온 상승은 육지에 비해 2배 정도(6.1~13.1℃)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21세기 말 전지구 평균 강수량은 온실가스 배출 정도에 따라 현재 대비 5~1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1세기 말 전지구 평균 해수면온도는 온실가스 배출 정도에 따라 현재 대비 1.4~3.7℃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전지구 해수면고도는 46~87cm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mark 동아시아

    미래 후반기(2081~2100년) 동아시아 연평균기온은 현재(1995~2014년) 대비 2.7~7.3℃ 상승하고 연강수량은 6~1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mark 한반도

    미래 후반기(2081~2100년) 한반도 연평균기온은 현재(1995~2014년) 대비 2.6~7.0℃ 상승하고 연강수량은 2~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mark 남한상세

    미래 후반기(2081~2100년) 우리나라의 연평균기온은 현재(2000~2019년) 대비 2.3~6.3℃ 상승하고 연강수량은 4~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표 1. 미래 평균기온(℃) 및 강수량(mm) 변화>

    표 1. 미래 평균기온(℃) 및 강수량(mm) 변화를 안내하는 표
    구분 전지구(135km) 한반도(25km) 남한상세(1km)
    기온 강수량 기온 강수량 기온 강수량
    현재 기후 값
    (전지구/한반도 : 1995-2014, 남한: 2000-2019)
    14.4℃ 1051.5mm 11.2℃ 1195.2mm 11.9℃ 1328.1mm
    21세기 전반기
    (2021-2040)
    SSP1-2.6 +1.2 +3% +1.6 -1% +1.3 +5%
    SSP2-4.5 +1.3 +3% +1.5 +1% +1.2 +7%
    SSP3-7.0 +1.2 +2% +1.5 +2% +1.3 +6%
    SSP5-8.5 +1.3 +3% +1.8 -2% +1.5 +1%
    21세기 중반기
    (2041-2060)
    SSP1-2.6 +1.7 +4% +1.8 +3% +1.6 +7%
    SSP2-4.5 +2.0 +4% +2.5 +6% +2.2 +7%
    SSP3-7.0 +2.2 +4% +3.1 +2% +2.7 +7%
    SSP5-8.5 +2.4 +5% +3.2 +4% +2.9 +6%
    21세기 후반기
    (2081-2100)
    SSP1-2.6 +1.9 +5% +2.6 +3% +2.3 +4%
    SSP2-4.5 +3.0 +7% +3.9 +13% +3.5 +15%
    SSP3-7.0 +4.3 +8% +5.9 +12% +5.4 +13%
    SSP5-8.5 +5.2 +10% +7.0 +15% +6.3 +16%
    ※ 육상에 대해서만 분석한 자료임.
  • 물음표 SRES 전망, RCP 전망, SSP 전망의 차이는 어떻게 다른가요? 화살표

    IPCC 제3차평가보고서(2001)에 사용된 미래 배출량 시나리오 SRES와 제5차평가보고서(2013)에서 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영향으로 온실가스 농도를 사용한 RCP와의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표 1, 표 2).

    • SRES 시나리오는 미래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선정된 시나리오이지만 RCP 시나리오는 기후변화 대응정책과 연계하여 선정된 것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표 1. RCP 시나리오와 SRES 시나리오에 따른 CO2 농도 기준>

    표 1. RCP 시나리오와 SRES 시나리오에 따른 CO2 농도 기준
    시나리오 종류 RCP SRES
    ppm 농도 2.5 4.5 6.0 8.5 B1 A1B A2
    CO2 기준(ppm) 420 540 670 940 550 720 830

    <표 2. 사회경제적 가정 차이에 따른 RCP 시나리오와 SRES 시나리오의 구성과 의미 >

    표 2. 사회경제적 가정 차이에 따른 RCP 시나리오와 SRES 시나리오의 구성과 의미
    <RCP 시나리오>
    기후변화 대응정책과 연계하여 선정
    <SRES 시나리오>
    미래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선정

    RCP2.6 : 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을 지구 스스로가 회복 가능한 경우

    RCP4.5 :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되는 경우

    RCP6.0 :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되는 경우

    B1(지속발전형 사회) : 지역간 격차가 감소, 인구감소, 청정자원 절약기술 도입

    A1B(고성장 사회) : 화석에너지와 비화석에너지원 균형, 신기술, 고효율화 기술 도입

    RCP8.5 : 현재 추세(저감없이)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BAU 시나리오)

    A2(다원화 사회) : 인구증가, 경제성장은 낮고, 환경에의 관심도 상대적으로 낮음.

    ※ 세부 내용은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기후변화 시나리오>개념]를 참고하세요.

    새로운 온실가스 경로(SSP)에 따른 전지구 평균기온 및 강수량 변화 폭을 지난 IPCC 제5차평가보고서 기여모델(CMIP5) 결과 및 HadGEM2-AO 결과와의 비교는 아래와 같습니다(표 3, 그림 1).

    • 기존 RCP 시나리오 결과와 비교 시, 금번에 산출된 시나리오에서 전지구 평균기온과 강수량의 증가 폭이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 단, 기존 RCP 시나리오와 신규 SSP 시나리오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차이와 함께 기준 기간 및 예측에 사용된 모델 수준 등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습니다.

    <표 3. 기존 시나리오(RCP)와 신규 시나리오(SSP)에서의 전지구 평균기온과 전지구 평균강수량 상승 폭의 비교 >

    표 3. 기존 시나리오(RCP)와 신규 시나리오(SSP)에서의 전지구 평균기온과 전지구 평균강수량 상승 폭의 비교
      RCP SSP
    CMIP5 모델 결과(1971-2000년 대비 2071-2100년) HadGEM2-AO 모델 결과(1981-2010년 대비 2071-2100년) 신규결과(1995-2014년 대비 2081-2100년)
    기온 1.3-3.7℃ 상승 1.3-4.0℃ 상승 1.9-5.2℃ 상승
    강수량 3-6% 증가 2-5% 증가 5-10% 증가

    그림 1. 과거(1970-2014년) 및 미래(2015-2100년)의 온실가스 배출 경로 <그림 1. 과거(1970-2014년) 및 미래(2015-2100년)의 온실가스 배출 경로 >

    • IPCC 제6차평가보고서의 표준 경로는 오른쪽에 표기된 SSP1-2.6(녹색 실선), SSP2-4.5(청색 실선), SSP3-7.0(적색 실선), SSP5-8.5(보라색 실선)의 4종입니다. 그 외에 표기되지 않은 선들은 표준 외에 가능한 배출 경로들을 나타내며 가능한 배출 경로들의 전체 범위를 회색 음영으로 표기되었습니다. 과거 IPCC 5차평가보고서는 회색 파선의 4개 RCP 시나리오(RCP2.6/4.5/6.0/8.5)를 사용합니다.

  • 물음표 SRES, RCP, SSP 전망정보를 비교해 보고 싶어요 화살표

    <시나리오 영역별 비교분석 개요>

    시나리오 영역별 비교분석 개요를 항목별 내용별로 나눠 안내하는 표
    항목 내용
    사용자료
    • SSP: 전지구/동아시아
    • RCP: 전지구/한반도/남한상세, 200/400년 제어적분
    • SRES: 전지구/한반도/남한상세
    분석영역
    • 전지구 자료: 전지구영역
    • 동아시아/한반도 자료: 한반도 영역
    • 남한상세 자료: 남한영역
    분석방법
    • 연도별 시계열 비교 분석
    • 10년별 시계열 비교 분석
    • 기간별 시계열 비교 분석
    분석기간
    • 전지구 자료: 1981~2100년
    • 동아시아/한반도 자료: 1981~2100년
    • 남한상세 자료: 2000~2100년
    현재값(기준값)
    • 전지구 자료: 1981~2000년
    • 동아시아/한반도 자료: 1981~2000년
    • 남한상세 자료: 2000~2010년
    시나리오별 평균기온 편차 시계열

    그림 3-5. 전지구 시나리오 전지구 영역 <그림 Ⅲ-5. 전지구 시나리오 전지구 영역>

    그림 3-6. 전지구 시나리오 전지구 영역 <그림 Ⅲ-6. 동아시아/한반도 시나리오 한반도 영역>

    그림 3-7. 남한상세 시나리오 남한 영역 <그림 Ⅲ-7. 남한상세 시나리오 남한 영역>

    시나리오별 10년별 평균기온 편차 시계열

    그림 3-8. 전지구 시나리오 전지구 영역 <그림 Ⅲ-8. 전지구 시나리오 전지구 영역>

    그림 3-9. 동아시아/한반도 시나리오 한반도 영역 <그림 Ⅲ-9. 동아시아/한반도 시나리오 한반도 영역>

    그림 3-10. 남한상세 시나리오 남한 영역 <그림 Ⅲ-10. 남한상세 시나리오 남한 영역>

담당: 기후변화감시과 최가영 / 042-481-7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