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후변화 상황지도 바로가기
안내지도
기후정책
기후정책
기후관련
정책 및 법령
기상청 정책
기후관련 정책
기후관련 법령
기후분야 연구개발
연구개발 소개
자체 연구개발
출연 연구개발
국제협력 활동
IPCC
GFCS
APCC
GAW
DBCP
IOC
기후변화감시
기후변화
감시
종합 기후변화감시정보
대기(대기조성)
대기(기상요소)
육상
해양
지구대기감시망
전지구
지구대기감시망
국내
지구대기감시망
지구대기감시장비
온실가스
반응가스
에어로졸
대기복사
성층권 오존
자외선
총대기침적
지구대기감시자료
통계자료
실시간 자료
지구대기감시
입체관측망
에어로졸 라이다
항공기
선박
서해상 대기질
입체관측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소개
개념
산출방법
Q&A
활용 매뉴얼
기후변화 예측정보
격자
행정구역
영향정보
과거 기후변화
관측자료
MK-PRISM(격자)
MK-PRISM
(행정구역)
다운로드
데이터
보고서
시나리오 승인
기후변화 시나리오
승인제도
승인 절차/신청 서식
기후변화 영향정보
기후변화
영향정보
기후변화
영향정보란?
기상·기후 부문
계절길이
아열대화
극한고온
극한강수
대기정체
오존발생
도시화 효과
농업·축산 부문
곡식
과일
고랭지배추
가축
해양·수산 부문
해수면 높이
수산업 변화
백화현상
산림·생태계 부문
수종의 변화
해충의 증가
생물 다양성 감소
보건 부문
폭염
감염병
열스트레스
기후분석
·
예측
기후
분석
·
예측
기후감시
·
분석
우리나라 기온 현황
우리나라 강수 현황
기후 특성분석
월간 기후분석정보
기후예측
기후예측소개
1개월전망
3개월전망
3개월전망 해설서
계절기후전망
연기후전망
기후감시예측정보
엘니뇨 · 라니냐
정의 및 영향
감시 · 발생현황
모델예측결과
엘니뇨 · 라니냐 전망
WMO전망
해양기후예측
수온(1개월)
유의파고(1개월)
열린마당
열린마당
공지사항
공지사항
자료실
보도자료
기후변화과학콘텐츠
주간 기후 이슈
발간물
지구대기감시보고서
이상기후보고서
IPCC 보고서
기후변화 시나리오
연기후특성보고서
기타
기후사전
기후용어사전
기후변화과학 용어 설명집
약어사전
관련 사이트
정부기관
연구기관
민간환경단체(NGOs)
국제기구
기후정보포털 소개
검색창 닫기
자주 찾는 검색어
메뉴 버튼
검색 버튼
기후정책
기후관련 정책 및 법령
- 기상청 정책
- 기후관련 정책
- 기후관련 법령
기후분야 연구개발
- 연구개발 소개
- 자체 연구개발
- 출연 연구개발
국제협력 활동
- IPCC
- GFCS
- APCC
- GAW
- DBCP
- IOC
기후변화감시
종합 기후변화감시정보
- 대기(대기조성)
- 대기(기상요소)
- 육상
- 해양
지구대기감시망
- 전지구 지구대기감시망
- 국내 지구대기감시망
지구대기감시장비
- 온실가스
- 반응가스
- 에어로졸
- 대기복사
- 성층권 오존
- 자외선
- 총대기침적
지구대기감시자료
- 통계자료
- 실시간 자료
지구대기감시 입체관측망
- 에어로졸 라이다
- 항공기
- 선박
- 서해상 대기질 입체관측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소개
- 개념
- 산출방법
- Q&A
- 활용 매뉴얼
기후변화 예측정보
- 격자
- 행정구역
- 영향정보
과거 기후변화
- 관측자료
- MK-PRISM(격자)
- MK-PRISM(행정구역)
다운로드
- 데이터
- 보고서
시나리오 승인
- 기후변화 시나리오
승인제도
- 승인 절차/신청 서식
기후변화영향정보
기후변화 영향정보란?
기상·기후 부문
- 계절길이
- 아열대화
- 극한고온
- 극한강수
- 대기정체
- 오존발생
- 도시화 효과
농업·축산 부분
- 곡식
- 과일
- 고랭지배추
- 가축
해양·수산 부문
- 해수면 높이
- 수산업 변화
- 백화현상
산림·생태계 부문
- 수종의 변화
- 해충의 증가
- 생물 다양성 감소
보건 부문
- 폭염
- 감염병
- 열스트레스
기후분석
·
예측
기후감시
·
분석
- 우리나라 기온 현황
- 우리나라 강수 현황
- 기후 특성분석
- 월간 기후분석정보
기후예측
- 기후예측소개
- 1개월전망
- 3개월전망
- 3개월전망 해설서
- 계절기후전망
- 연기후전망
- 기후감시예측정보
엘니뇨 · 라니냐
- 정의 및 영향
- 감시 · 발생현황
- 모델예측결과
- 엘니뇨 · 라니냐 전망
- WMO전망
해양기후예측
- 수온(1개월)
- 유의파고(1개월)
열린마당
공지사항
자료실
- 보도자료
- 기후변화과학콘텐츠
- 주간 기후 이슈
발간물
- 지구대기감시보고서
- 이상기후보고서
- IPCC 보고서
- 기후변화 시나리오
- 연기후특성보고서
- 기타
기후사전
- 기후용어사전
- 기후변화과학 용어 설명집
- 약어사전
관련 사이트
- 정부기관
- 연구기관
- 민간환경단체(NGOs)
- 국제기구
기후정보포털 소개
기후변화 상황지도
바로가기
WMO 전망
home
기후분석·예측 > 엘니뇨·라니냐 > WMO전망
제목
[2018.03.29.] 라니냐 약하게 지속되다가 올해 상반기 중에 중립상태가 될 것으로 전망
번 호
6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04-12
조회수
44908
첨부파일
(20180329)_WMO.hwp
다운로드
96
라니냐 약하게 지속되다가 올해 상반기 중에 중립상태가 될 것으로 전망
□ 세계기상기구(WMO) 엘니뇨·라니냐 현황 및 전망 발표 내용
(현황) 2017년 하반기부터 현재까지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Nino3.4, 5°S~5°N,
170°W~120°W)의 해수면온도는, 평년보다 낮은 약한 라니냐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
(전망)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엘니뇨·라니냐 예측모델 및 전문가는 2018년 상반기
중에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의 해수면온도가 약 75~80%의 확률로 평년과 비슷한 중립
상태가 될 것으로 전망함.
○ 세계기상기구는 라니냐가 지속될 가능성이 약 20~25%의 확률이며, 엘니뇨가 발달할
가능성은 가장 낮게 예측하고 있음.
□ 세계기상기구(WMO) 발표에 대한 기상청 추가 설명
(라니냐 발생) 기상청의 엘니뇨·라니냐 기준 1) 엘니뇨(라니냐)의 기준(기상청 기준)
-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열대 태평양 Nino3.4 지역 : 5°S∼5°N, 170°W∼120°W)의 3개월
이동평균한 해수면온도 편차가 +0.5℃ 이상(-0.5℃ 이하)으로 5개월 이상 지속될 때 그
첫 달을 엘니뇨(라니냐)의 시작으로 봄(2016. 12. 23. 부터 적용)에 따라 라니냐는
공식적으로 2017년 9월부터 시작되었으며,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의 해수면온도는
평년보다 0.5℃∼1.1℃ 낮았음.
(라니냐 영향) 지난 겨울철(2017.12~2018.2)동안 라니냐는 주로 열대 부근에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도 라니냐 해 겨울철의 일반적인 경향*이 부분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됨.
※ 지난 겨울철 전국 평균기온 –0.8℃(편차 –1.4℃)로 평년보다 낮았고, 강수량 75.6mm
(평년비 86.9%)로 평년과 비슷하였음.
* (라니냐 해 겨울철 우리나라 기온 및 강수 경향성) 라니냐가 발달하는 겨울철에 북서
태평양 부근에 형성된 저기압성 흐름으로 인해 북풍 계열의 바람이 우리나라로 자주
유입되어 기온이 평년보다 낮고 강수량은 적은 경향이 있음.
□ 향후 전망
○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봄철 기온 및 강수량은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의 해수면온도와
상관성이 낮은 가운데, 올 상반기동안 라니냐는 점차 약화되어 평년 수준으로 회복되겠음.
○ 이후, 올해 하반기까지 중립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나, 엘니뇨·라니냐 예측 정보는
불확실성이 크므로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의 해수면온도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함.
○ 또한, △열대 인도양-서태평양 해수면온도 △북극해빙 △유라시아 대륙 눈 덮임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기압계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기후감시요소에 대한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요구됨.
* 자세한 사항은 첨부물이나 해당부서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공공누리
목록
이전
[2018.09.13.] 세계기상기구(WMO), 올겨울 약한 엘니뇨가 될 것으로 전망
다음
[2017.12.22.] 올 겨울동안 약한 라니냐 상태 지속될 것으로 전망
담당:
기후예측과 공연지 / 042-481-7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