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봄철 기상특성] 심하게 널뛴 봄철기온과 3일에 한 번 비 왔던 5월 - 1973년 이후 평균기온 3월(상위 2위), 4월(상위 44위), 5월(상위 14위) - 4~5월 상층에 위치한 차고 건조한 공기 때문 □ [기온] 3월 전국 평균기온(7.9℃/평년 5.9℃)은 1973년 이후 상위 2위를 보이며 매우 높았으나, 4월은 쌀쌀했던 날이 많아 44위(하위 5위)까지 곤두박질쳤으며(10.9℃/12.2℃), 5월(17.7℃/17.2℃, 상위 14위)은 다시 소폭 기온이 상승하여 심하게 널뛴 기온 차를 보였습니다. ○ 특히, 올해는 3월까지 전국 평균기온이 월별 역대 상위를 기록(1월 1위/2월 3위/ 3월 2위)하면서 높은 기온 추세가 이어 졌으나(1~3월 4.8℃/평년 2.0℃, 상위 1위), 4월에 찬 공기가 자주 유입되어 꽃샘추위가 나타나면서 상승추세가 꺾였습니다. ○ (3월과 4월 기온변동 컸던 원인) 3월은 북극에 찬 공기가 갇힌 가운데 시베리아 지역의 기온이 평년보다 2℃ 이상 높게 유지되면서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 고기압이 약했습니다. 반면, 4월은 바이칼호 북서쪽에 키가 큰 따뜻한 공기가 정체 하면서 남북 흐름이 강화되어 북서쪽에서 찬 공기가 자주 유입되었기 때문입니다. ○ (3일에 한번 비가 내린 5월) 정체가 풀리면서 서쪽에서 강수대가 주기적으로 접근하여 강수 현상이 잦았으며(5월 강수일수 9.6일/평년 8.6일), 흐린 날도 잦아 체감적으로 선선하게 느껴지는 날이 많았습니다.
□ [강수] 3월은 건조한 공기의 영향을 자주 받았으며, 4~5월은 우리나라 상층(약 5.5㎞ 상공)에 차고 건조한 공기가 위치 하면서 날씨 변화가 컸습니다. ○ 특히, 4월 중반(12일, 22일)에 상층에는 –25℃ 이하의 찬 공기가 한반도까지 깊게 남하하면서, 12일은 제주도와 강원 산간에 많은 눈이, 22일 새벽에는 서울에 진눈깨비가 내려 1907년 10월 기상관측 이후 4월에 가장 늦은 봄눈을 기록 했습니다. ※ 2020년 전에는 1911년 4월 19일 서울에서 관측된 바 있음 □ [바람] 우리나라 주변으로 북쪽/상층의 찬 공기와 남쪽/하층의 따뜻한 공기 사이에서 기압차가 커지면서 작년보다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이 많았습니다(전국평균 봄철 최대풍속(㎧): ´20년 9.9, ´19년 9.3, 최대순간풍속: ´20년 17.9, ´19년 15.9). ○ 특히, 3월 19~20일, 4월 21~25일, 5월 11~13일과 18~19일은 태풍 수준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어, 전국 곳곳에서 강풍 피해와 함께 산불피해가 발생했습니다.
□ [황사] 봄철 황사 일수는 1.0일로 평년(5.4일)보다 적었습니다. ○ 월별 황사 일수는 3월 0.0일, 4월 0.7일, 5월 0.3일로 평년(3월 1.8일, 4월 2.5일, 5월 1.1일)보다 모두 적었습니다. ※ 황사는 전국 13개 목측 관측 지점에서 관측한 자료를 사용함
▶봄철 기상특성 설명 유튜브 영상
* 자세한 사항은 첨부물이나 해당부서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