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목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특수 문서는 모든 올려진 파일을 보여줍니다.
날짜 | 이름 | 섬네일 | 크기 | 사용자 | 설명 | 버전 |
---|---|---|---|---|---|---|
2020년 11월 5일 (목) 04:31 | 4-1.png (파일) | ![]() |
34 KB | KMA | 빙산, 빙붕, 대륙빙하 | 1 |
2020년 11월 5일 (목) 04:31 | 3-7.png (파일) | ![]() |
98 KB | KMA | <최근 51년간(1968∼2018) 우리나라 전체 및 해역별 연평균 표층염분 변동 경향(단위: psu)> [출처: 수산분야 기후변화 평가 백서, 국립수산과학원, 2019] | 1 |
2020년 11월 5일 (목) 04:31 | 3-6.png (파일) | ![]() |
46 KB | KMA | <수소 이온 지수 [pH]> [출처: Basic 고교생을 위한 화학 용어사전] | 1 |
2020년 11월 5일 (목) 04:30 | 3-5.png (파일) | ![]() |
34 KB | KMA | 해양 산성화 진행과정 | 1 |
2020년 11월 5일 (목) 04:30 | 3-4.png (파일) | ![]() |
183 KB | KMA | 파푸아 뉴기니의 이산화탄소 분압(pCO2)와 수소이온농도(pH) 분포에 따른 해양산성화 /출처: Paul et al., Frontiers in Marine Science, 2016 | 1 |
2020년 11월 5일 (목) 04:29 | 3-2.png (파일) | ![]() |
37 KB | KMA | 1968~2018년 우리나라 주변(a) 및 전 세계(b)의 연평균 표층수온 변화(단위 ˚C)(국립수산과학원, 2019) | 1 |
2020년 11월 5일 (목) 04:29 | 3-1.png (파일) | ![]() |
35 KB | KMA | 1968~2018년 우리나라 주변(a) 및 전 세계(b)의 연평균 표층수온 변화(단위 ˚C)(국립수산과학원, 2019)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40 | 2-54.png (파일) | ![]() |
86 KB | KMA | 오존층 파괴물질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40 | 2-53.png (파일) | ![]() |
216 KB | KMA | 포항지역의 오존농도 연직분포(1995~2019년)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40 | 2-52.png (파일) | ![]() |
39 KB | KMA | 돕슨단위의 이해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40 | 2-51.png (파일) | ![]() |
57 KB | KMA | 돕슨단위의 이해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40 | 2-50.png (파일) | ![]() |
92 KB | KMA | 오존홀(ozone hole)의 예(2019년 9월8일, 남극상공)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9 | 2-49.png (파일) | ![]() |
161 KB | KMA | 열대지방(북위 20°~남위 20°)은 모든 계절에 오존전량에 변화가 거의 없지만 오존함유량이 높은 공기가 열대지방으로부터 이동해 고위도에 축적되기 때문에 열대지방 외의 지역의 오존전량은 일별부터 계절별 기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9 | 2-48.png (파일) | ![]() |
26 KB | KMA |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의 2019년 월평균 오존전량 분포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9 | 2-47.png (파일) | ![]() |
56 KB | KMA | 대기의 오존분포(Fahey, D. W., 2002)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9 | 2-46.png (파일) | ![]() |
41 KB | KMA | 성층권 오존의 생성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8 | 2-45.png (파일) | ![]() |
71 KB | KMA | 자외선지수의 단계별 주의사항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8 | 2-44.png (파일) | ![]() |
91 KB | KMA | 자외선지수 관측자료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8 | 2-43.png (파일) | ![]() |
61 KB | KMA | 자외선B의 긍정적인 효과와 비타민D의 효능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7 | 2-42.png (파일) | ![]() |
68 KB | KMA | 성층권에서 자외선 흡수량(좌) 자외선A와 자외선B의 피부 침투 정도(우)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7 | 2-41.png (파일) | ![]() |
18 KB | KMA | 지구-대기권의 에너지수지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7 | 2-40.png (파일) | ![]() |
99 KB | KMA | 지구-대기권의 에너지수지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6 | 2-39.png (파일) | ![]() |
28 KB | KMA | 대기 상부에서 북반구 여름과 겨울, 연평균 동서 평균 순복사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6 | 2-38.png (파일) | ![]() |
101 KB | KMA | 관측장비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6 | 2-37.png (파일) | ![]() |
111 KB | KMA | 관측장비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6 | 2-36.png (파일) | ![]() |
95 KB | KMA | 관측장비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6 | 2-35.png (파일) | ![]() |
145 KB | KMA | 관측장비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4 | 2-34.png (파일) | ![]() |
51 KB | KMA | 태양과 지구복사의 흑체 스펙트럼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4 | 2-33.png (파일) | ![]() |
67 KB | KMA | 최근 10년(2009∼2019년) 안면도, 제주고산, 울릉도의 강수에 따른 산성도 변화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4 | 2-32.png (파일) | ![]() |
222 KB | KMA | 강수화학 시료채취 및 분석절차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3 | 2-31.png (파일) | ![]() |
100 KB | KMA | 산성화 생성 과정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3 | 2-30.png (파일) | ![]() |
198 KB | KMA | 산성비에 부식된 철근과 석상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3 | 2-29.png (파일) | ![]() |
194 KB | KMA | 산성비에 부식된 철근과 석상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3 | 2-28.png (파일) | ![]() |
150 KB | KMA | <작은입자(PM1.0, PM2.5)> 황사 vs 연무(그래프에서 빨간선은 PM10, 초록선은 PM2.5, 파란선은 PM1.0)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2 | 2-27.png (파일) | ![]() |
173 KB | KMA | 큰입자 증가(PM10) 황사 vs 연무(그래프에서 빨간선은 PM10, 초록선은 PM2.5, 파란선은 PM1.0)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2 | 2-26.png (파일) | ![]() |
144 KB | KMA |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황사 발원지와 이동경로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2 | 2-25.png (파일) | ![]() |
59 KB | KMA | 미세먼지 크기 비교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31 | 2-24.png (파일) | ![]() |
281 KB | KMA | GAW-PFR AOD 네트워크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9 | 2-23.png (파일) | ![]() |
75 KB | KMA | 울릉도독도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9 | 2-22.png (파일) | ![]() |
50 KB | KMA | 고산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8 | 2-21.png (파일) | ![]() |
64 KB | KMA | 안면도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8 | 2-20.png (파일) | ![]() |
266 KB | KMA | 에어로졸의 생성(왼쪽)과 발생(오른쪽)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8 | 2-19.png (파일) | ![]() |
13 KB | KMA | 자외선의 흡수는 대기에서 분자들의 화학 결합을 끊어 연쇄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만들며 광화학반응의 예로 이산화질소나 오존의 광분해를 들 수 있다.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7 | 2-18.png (파일) | ![]() |
16 KB | KMA | 메탄의 분자 모형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7 | 2-17.png (파일) | ![]() |
14 KB | KMA | 국내 연도별 반응가스 배출량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7 | 2-16.png (파일) | ![]() |
32 KB | KMA | 국내 연도별 반응가스 배출량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7 | 2-15.png (파일) | ![]() |
88 KB | KMA | 주요도시의 연평균 지표 O3 농도 추이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6 | 2-14.png (파일) | ![]() |
102 KB | KMA | 기후변화의 복사강제력(IPCC 제5차 보고서)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6 | 2-13.png (파일) | ![]() |
60 KB | KMA | 전지구와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 | 1 |
2020년 11월 4일 (수) 06:25 | 2-12.png (파일) | ![]() |
74 KB | KMA | 온실가스 관측역사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