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응용정보

기후변화감시용어집 해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기후변화 응용정보

기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지표가 그 지역의 평균적인 날씨밖에 없는 것일까?
기후는 농업, 보건, 에너지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막연하게 각 분야에서 기후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정량화 된 지표가 요구되기 시작했다.
이에 각 분야에서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게 되었고, 여러 종류의 기후응용정보를 생산하였다.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열지수와 불쾌지수, 작물생육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유효적산온도와 생육온도일수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기후응용정보는 기후정보를 다양한 분야의 정보와 접목시켜 수요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기후변화 응용정보

-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부문별(농업, 방재, 보건, 수자원, 산림, 동물생태)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등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미래 전망정보이다.

구분 수자원 보건 농업 재해 산림 동물생태
대상
시나리오
RCP 4종
생산
요소
중권역별 강수량
유출량
잠재증발산량
유황분석정보
열지수,
불쾌지수,
체감온도(AT),
체감추위지수,
열체감지수,
Net EffectiveTemperature(NET),
열사병발생위험지수,
온열지수(WBGT)
생육온도일수,
유효적산온도,
식물기간,
작물기간,
무상기간,
작물 저온요구도,
온습도지수,
기후생산력지,
난방도일,
냉방도일,
기준증발산량,
엽면수분지속기간
표준강수지수(SPI),
독립호우사상
최저기온지수,
유효강우지수,
건조강도지수

물새류월동환경지수,
기후변화심각도지수,
강우열량지수

기간 2000~21000년 1950~2005년
2013~2100년
1971~2100년
2011~2100년
2012~2100년 2011~2100년 2011~2100년
시간
해상도
일/월 순(10년 평균)
공간
해상도
중권역(104개),
73개 지점
230개 시군구 230개 시군구,
격자(12.5km / 1km)
73개 지점 230개 시군구 230개 시군구



유효적산온도

-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열량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일평균기온에서 생육한계온도(5℃, 10℃, 15℃ 기준)를 뺀 값을 합한 것이다.


<RCP8.5 유효적산온도 분포표(℃)>


생육온도일수

- 작물별 기본온도와 일평균온도의 차를 생육기간 동안 합한 값이다(작물의 재배적지 및 품종 선택 지표).

열지수

- 건구온도와 상대습도를 이용하여, 일사병, 열경련 등 열적 스트레스의 위험도를 나타낸 지수(6~9월).

최저기온지수

- 최한월 평균 최저기온을 이용하여 식생의 내한성(Cold resistance)을 표현하는 지표
- Neilson(1995)에 따르면 최한월 평균 최저기온은 산림의 생육과 분포, 생장 등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예를 들어, 최한월 평균 최저기온이 18℃ 이상인 경우 상록활엽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고, -15℃ 이하인 경우 상록침엽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 월 평균 최저기온이 약 1.5℃인 곳에서는 낙엽활엽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Neilson, 1995)

유효강우지수

- 유효강우지수(PEI)는 강수량과 기온의 혼합지수로 Thornthwaite(1948)에 의해 개발되었다.
- 월 강수증발산비율(PE ratio)로부터 도출된 유효강우지수는 식물의 생장과 분포 등과 관계가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수량에 의한 분포 변화의 측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산림 지수에 해당한다.

페이지 링크
이전 페이지 현재 페이지 다음 페이지
기후변화 영향 기후변화 응용정보 기후와 기후변화 정의